Skip to content

changwoo/jebudo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32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제부도 - 개선된 한글 글꼴
=========================

이 글꼴 프로젝트는 NHN의 나눔글꼴을 비롯한 기존 글꼴들을 기반으로
문제점을 수정하고 개선해 자유소프트웨어/오픈소스 데스크톱에 적합한 한글
글꼴을 만드려는 시도이다.


왜 기존 글꼴을 수정해야 하는가
------------------------------

다수에게 공개되는 대부분 무료 글꼴의 목적은 브랜딩이다. 기업 등 단체를
홍보하기 위한 이러한 글꼴은 자연스럽게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컴퓨터
환경에 맞춰져 있고, 리눅스 데스크톱과 같은 소수가 사용하는 환경은 잘
고려하지 않는다. 트루타입과 같은 글꼴 포맷은 데스크톱 환경의 종류와
무관하지만, 소수 데스크톱 사용자가 필요한 사항에 잘 대응하기 쉽지
않다. 또 글꼴을 만드는 곳과 공개하는 곳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라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는다.

나눔글꼴도 처음부터 리눅스 데스크톱에서 몇 가지 해결하지 못한 이슈가
있었지만, 글꼴의 데이터를 직접 수정해야 하는 경우는 대처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OFL 라이선스는 브랜딩 목적의 글꼴 공개를 장려하기 위해 같은
이름으로 배포하는 한 동일성을 유지해야 하는 제한이 있다. 즉 기존 글꼴을
그대로 개선할 수는 없고 이름을 다르게 바꿔야 수정과 재배포가
가능해진다. 글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른 이름의 글꼴을 만들어야 한다.
글꼴의 이름을 바꾸는 일이 어렵지는 않지만, 매번 여기저기에서 수정
사항이 있을 때마다 다른 이름의 글꼴을 새로 만들어서 배포하게 되면
개선된 사항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기 쉽지 않다. 여러가지 개선 사항을
통합해서 커뮤니티의 힘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글꼴이 필요하다.


목표
----

- freetype, fontconfig의 기능을 적극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유니코드 한글에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를 충실히 구현한다.

- DejaVu 등 기존 글꼴과 잘 어울리도록 한다.


라이선스
--------

SIL Open Font License 1.1

LICENSE 파일 참고

라이선스가 OFL인 나눔글꼴을 수정한 글꼴은 동일한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한다. 이후에 수정된 글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나눔글꼴이라는 이름은
사용할 수 없다.

이 글꼴도 OFL에 따라 Reserved Name을 지정했지만 ("Jebudo Sans",
"Jebudo Serif", "Jebudo Sans Mono"), OFL의 PERMISSION & CONDITIONS
3항에 따라 수정한 글꼴도 이 이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허용한다. 단 배포할 때 원본 버전과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


이름
----

제부도는 경기도 화성시의 섬 이름이기도 하지만, 프로젝트의 이름으로
무엇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DejaVu와 비슷한 발음의 단어를 찾다가 발견한
이름이다. DejaVu는 (http://deja-fonts.org) Bitstream Vera를 기반으로
없는 여러 언어들의 글리프를 확장하는 것을 처음 목표로 하다가 지금은
사실상 리눅스 데스크톱의 표준 글꼴이 되어버린 글꼴이다. DejaVu가 했던
것처럼 이 글꼴은 기존 글꼴을 참고로 하지만 결국에는 더 개선된 글꼴이
되기를 바란다.


프로젝트 정보
-------------

- 개발 사이트

https://github.com/changwoo/jebudo

- 토론 메일링 리스트

https://groups.google.com/group/jebudo-fonts


빌드
----

- fontforge

- python

- xgridfit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